본문 바로가기
  • ღ'ᴗ'ღ_daily_____
Economy

2021.06.21 경기일보 - 고용보조지표의 정의와 최근 동향

by 탱♥ 2021. 6. 21.
728x90
SMALL

경기일보 - 1등 유료부수, 경기·인천 대표신문 (kyeonggi.com)

 

[알기쉬운 경제이슈] 고용보조지표의 정의와 최근 동향 - 경기일보

고용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수단이자 가계의 주 소득원이라는 점에서 어떤 경제지표보다 우리 생활과 밀접하다고 할 수 있다. 통계청은 매월 ‘경제활동인구조사’를 실시해 취업자수,

www.kyeonggi.com

 

 

- 실업자의 정의 : 1) 조사주간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) 지난 4주간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3) 일자리가 주어지면 즉시 취업 가능한 자.

- 실업률 : 실업자 / 경제활동인구 (취업자+실업자)

- 최근 통계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늘었지만 자영업자 가 8만명 감소함. (팬데믹의 영향)

- 실업자 정의가 매우 협소한 편이라 국제노동기구는 '고용보조지표'를 도입함.

- 국내에서도 2015년부터 도입. (세 가지 지표)

- 고용보조지표 1) {(취업시간 36시간 미만&추가취업 희망&추가취업 가능=시간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)+실업자}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/ 경제활동인구 (취업자+실업자)

- 고용보조지표 2) {(구직활동X & 취업희망=잠재구직자)+(구직활동O & 취업가능 X=잠재취업가능자)+실업자}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/ 경제활동인구 (취업자+실업자)

- 고용보조지표 3) {(시간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)+(잠재경제활동인구)+실업자}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/ 경제활동인구 (취업자+실업자)

- 이와 같은 고용보조지표를 활용하면 고용시장의 흐름을 더욱 자세히 가늠할 수 있음.

- 이 뿐 아니라, 지역별, 연령별 등의 지표가 추가된다면 더 다각화 된 분석이 가능함.

728x90
SMALL

댓글